한국 시장의 특수성과 한국 소비자만의 특성 및 성향을 파악해, 무엇을 강조하고 어떻게 이야기해야 설득력이 있는 크리에이티브인지 판단해 낼 수 있어야 한다.
- “히트 상품은 그 상품의 크리에이티브가 ‘스윗 스팟’을 맞추었을 때 나온다”
1) ‘스윗스팟(Sweet Spot)’이란? 소비자 욕구의 정중앙
2) 소비자의 감성적 욕구와 실용적 욕구가 함께 충족해야 함
3) 디자인과 서비스로 차별화해야 함
4) H형 인간이 되어야 한다 : 무엇이든 최소 두 분야에 대한 전문가
-
“소비자와의 소통법을 배워야 한다”
1) STP 전략 S : 시장세분화(Segmenting) / T : 목표시장선정(Targeting) / P : 포지셔닝(Positioning) 2) 미래 시장에 대한 예측 - 고령화로 인한 실버 시장의 확대 - 자식 세대에 해당하는 Y 세대 시장의 확대 - 베이비 붐 세대는 미래 시장의 주류 3) W.I.N.E 세대 : Well Integrated New Eiders - 여성 중심/실속 중심/안전 중심/젊음 추구/관계 추구/젊은 시절에 대한 회상과 노년 시절로 가는 것에 대한 거부 - 감성 중심(윤리적)의 마케팅 필요
-
“키즈 마켓은 마케팅의 미래다”
1) ‘키즈 마켓(Kids Market)’이란? 어린이는 미래 잠재 고객이자 구매의사결정 영향력이 증대되고 있으며, 미개척 분야로 성공 가능성이 높은 분야 2) 어린이의 어머니나 가족 전체의 신뢰감을 구축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접근해야 함 3) 드림 마케팅(드림케팅) : 아이들에게 꿈과 희망을 심어주고 교육 효과도 있는 간접적인 마케팅 활동, 기업 미래 발전의 발판이 됨
-
“문화 코드를 잘 읽어야 한다”
1) 한국 문화의 특징 - 위험회피 성향이 강함 - 집단 중심주의 성향이 강함 - 고배경 문화을 갖고 있음 (*고배경 문화 : 구성원들의 의사소통에 필요한 정보가 사회적 배경, 경력, 가치관, 개인과 개인 간의 관계 등 배경에 내부화 되어 있는 문화를 의미) - 정이 많고, 동질적이며 감성적 (*패밀리 마케팅 : 대기업에서 주로 사용하며, 가족 사랑에 초점을 맞춤) - 여성적 사회의 특징을 갖고 있음 2) 소비자와의 공감대를 형성해야 소비자의 마음의 문을 열 수 있음 - 감성적 광고, 커뮤니케이션 전략과 감성 마케팅 전략이 필요 - 한국인의 ‘열정’, ‘자부심’, ‘애정’을 소재로 해야 함
-
“입소문을 마케팅으로 활용한다”
1) ‘사회적 영향력’이란? 다른 사람에게 정보를 잘 전달하고 그들의 구매의사결정에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 2) 바이러스 마케팅 종류 - 블로그 마케팅 - UCC 마케팅 - 커뮤니티 마케팅 - 클럽 마케팅 *커뮤니티는 형성보다는 유지 및 관리가 더 중요하며, 이는 기업과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로 이어짐 3) 고객 추천지수(NPS : Net Promoter Score) - 소비자의 구전(입소문) 파워에 기초한 조사연구 - 상품을 이용해 본 고객이 이를 다른 사람에게 얼마나 추천할 용의가 있는지 조사해서 지수화한 것 - 미래 시장 가능성을 예측하는데 매우 중요한 기초가 됨 4) 펀(Fun) 마케팅 -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오락적 요소는 매우 중요함 - 사람들은 여러 가지 제품과 서비스를 구매 및 이용함으로써 즐거움을 추구함 -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주지 못하는 ‘재미없는’ 상품은 상품 가치를 잃게 됨 = 소비자들에게 제품과 서비스를 팔던 시대에서 즐거운 체험을 파는 시대에 도래함
-
“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소비자 욕구를 채워야 한다”
1) 미래 시장에 대한 소비주체의 변화 소비 대상(What)/소비 방식(How)/소비 의식(Why) 2) 건강과 환경에 대한 관심 확대 - 가족 중심적으로 변화하면서 자신의 몸, 식구들 챙기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일이 됨 - 미래를 위해 대체 에너지의 개발, 자원 재활용 시스템의 개발에 대한 관심이 늘어남
3) ‘매스티지(Masstige)’란? 대중을 의미하는 매스(Mass)와 고급을 의미하는 프레스티지(Prestige)의 합성어로 대중들이 누릴 수 있는 작은 사치 혹은 고급 상품을 의미